문재인 대통령 종전 선언에 드디어 북한이 입을 열었다.
지난 21일 문 대통령은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가 모여 한반도에서의 전쟁이 종료되었음을 함께 선언하길 제안한다”며 종전선언을 제안했다.
이에 북한이 이틀만에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내놓은 것이다.
24일 리태성 외무성 부상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낸 담화에서 “종전을 가로막는 최대 장애물인 미국의 대조선 적대시 정책이 남아있는 한 종전선언은 허상에 불과하다”며 “제반 사실은 아직은 종전을 선언할 때가 아니라는 것을 입증해주고 있다”고밝혔다.
리 부상은 “조선반도(한반도) 정세가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속에 종잇장에 불과한 종전선언이 우리에 대한 적대시 철회로 이어진다는 그 어떤 담보도 없다”며 “미국·남조선 동맹이 계속 강화되는 속에서 종전선언은 지역의 전략적 균형을 파괴하고 북과 남을 끝이 없는 군비경쟁에 몰아넣는 참혹한 결과만을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의 이중 기준과 적대시 정책의 철회가 평화보장의 최우선적인 순위라고 강조했다.
리 부상은 “우리를 힘으로 타고 앉으려는 미국의 군사적 위협에 대처한 우리의 정당한 국방력 강화 조치는 도발로 매도되고 우리를 위협하는 미국과 추종 세력들의 군비증강 행위는 억제력 확보로 미화되는 미국식 이중기준 또한 대조선 적대시 정책의 산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 2월과 8월 미국의 대륙간탄도 미사일(ICBM) 미니트맨-3 시험발사와 남한에 대한 미사일 지침 종료 선언, 호주로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기술 이전 등을 나열했다.
최근 북한의 장거리 순항미사일과 단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 대한 비난에 불만을 드러낸 것이다.
그렇지만 리 부상은 종전선언을 완전히 폄하하지는 않고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리 부상은 “정치적 선언이라는 점에서 상징적 의미가 있다”며 “종전을 선언하는 것은 한번은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인 것만은 분명하다”고 밝혔다.
온라인이슈팀 <제보 및 보도자료 editor@postshare.co.kr 저작권자(c) 포스트쉐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사진 = 연합뉴스